5가지 중 3가지 이상 위험인자 결정 수치 복부비만 남자 >90 cm(허리둘레) 여자 >83 cm(우리나라 80 cm) 중성지방 ≥150 mg/dL HDL-chol 남자 <35 mg/dL 여자 <40 mg/dL 혈압 ≥130/85 mmHg 공복혈당 ≥110 mg/dL 당뇨의 진단
[작성자:] admin
밤중수유
밤에 깨서 젖 달라고 우는 아이를 돌보다가 다크서클이 턱밑까지 내려오고 잠이 부족해 좀비처럼 생활한다는 엄마가 많다. 아이 키우는 엄마라면 누구나 거쳐야 한다는 ‘밤중수유 끊기’ 미션 생후 4개월이 지나면 밤중수유를 끊고 아이가 통잠을 자야 건강하게 자랄 수 있고 엄마도 행복한 육아가 가능하다 아이가 태어나 자랄 때 뭐든 제때 ‘떼는’ 게 중요하다 어느 정도 자라면 밤중수유를 시작으로 …
밤중수유 더보기
ADHD
Korean ADHD rating scale (K-ARS) Parent version 당신의 자녀가 집에서 보이는 행동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번호에 동그라미를 쳐주십시오 전혀 혹은 그렇지 않다 때때로 그렇다 상당히 혹은 자주 그렇다 매우 자주 그렇다 1.학교수업이나 일, 혹은 다른 활동을 할 때 주의 집중을 하지 않고 부주의해서 실수를 많이 한다.2.가만히 앉아 있지를 못하고 손발을 계속 움직이거나 몸을 꿈틀거린다. …
ADHD 더보기
자위행위
두 돌 전후 아이의 성 인식 자신의 성별이나 남녀의 차이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없음 만 3세를 넘어야 성별을 조금씩 인식하게 됨 손으로 성기를 만지는 행위는 신체를 탐구하는 자연스런 과정이며 성기를 만질 때 느끼는 것은 일반적인 느낌이며 성적인 느낌이 아님 물리적으로 제한하거나 야단치면 부정적이고 금지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어 나중에 정체성과 성에 대해 부정적 자극을 줄 수 …
자위행위 더보기
야경증, 악몽
야경증 수면 중 깨어나서 강한 발성과 동작, 고도의 자율신경반응을 동반하는 공포와 공황상태 Non REM 시기에 주로 발생(수면의 전반기) 필요 시 수면뇌파검사 악몽과 차이 자율신경반응, 기억 못함, 수면 전반기 발생 치료 가족의 안심 낮 동안 너무 피곤하지 않도록 무서운 내용의 비디오나 TV시청 제한 횟수 많은 경우 약물 치료(Valium) 악몽 수면 중 꿈으로 깨는 장애 REM 수면 …
야경증, 악몽 더보기
수면중 이갈이
REM과 non-REM 수면 사이의 과도기에 발생 이갈기가 있다고 해서 낮 동안에 스트레스가 있었다거나, 악몽을 꾸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갈기와 행동문제, 개성과도 연관성은 없습니다. 아이가 나이가 들면 빈도는 줄어듭니다. 성인들도 이갈기를 계속하는 사람은 많습니다 필요 시 치과에서 마우스피스 등의 장치를 착용하도록 합니다. 수면관리
수면관리
정상수면 신생아 2개월까지는 밤/낮 구분 없음 영아(2개월~12개월) 9개월에서 70~80%는 밤에 지속적 수면취함 수면주기 90분~120분에 각성 • 정상적으로도 4~6회 밤에 깹니다 6개월 이후엔 생리적으로 야간수유필요 없음 학습되어진 조건을 각성 후 다시 잠들 때도 필요로 함 유아(12개월~3세) 낮잠이 야간수면과 가까운 경우 수면장애 있음 학령기 나이 밤잠 낮잠 합계 1주 8.5hr 4회 8hr 16.5hr 1개월 8.5hr 3회 7hr …
수면관리 더보기
말더듬
정상비유창성 (1;6 – 6세) 핵심행동 : 비유창성 빈도 : 100단어 발화시 10회 이하(단어나 음절) 반복이나 삽입의 반복단위 : 1~2회 반복 : 단어 – 부분반복(3세 이후 감소), 삽입(3세 이후 감소) 감정 및 태도 : 비유창성에 대해 인식하지 않음 기저진행과정 : 말더듬은 18개월 이전에 시작될 수 있고, 2;0 – 3;6세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이후 감소 추세를 보임 심리적 스트레스 : 이사, …
말더듬 더보기
호흡정지발작
호흡정지발작 생후 6개월~12개월부터 시작 생후 24개월까지 흔함, 3~4세가 되면 대개 사라짐 질병이라기 보다는 약간 정상에서 벗어난 행동습관 피부창백, 의식을 잃거나 경련 동반 가능 최대 1분정도 무산소 발작 2세 이하(특히 2~6개월) 발작적인 과호흡과 함께 청색증이 심해지고 과민성을 보이며 계속 운다 심한 경우 의식이 없어지거나 경련, 편측 부전마비 발생 아침에 깨어난 후 가장 흔히 발생, 심하게 울거나 …
호흡정지발작 더보기
조기영아자폐증
빈도 : 1만명 당 4~5명, 남아가 여아의 3~4배 증상 대인관계 형성의 장애 : 눈접촉이나 신체 접촉 피함 생후 6~8개월의 낯가림 없음 말을 거의 하지 않음 언어장애 언어가 전혀 발달하지 않거나 괴성 옹알이가 없거나 모방행위 없음 반향어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기타 증상 과잉행동, 자해행위, 지능저하 원인 : 불명 치료 : 교육, 약물 등 예후 : 좋지 …
조기영아자폐증 더보기